1시간 강수량 30mm 이상, 또는 하루 80mm나 하루에 연 강수량 10% 이상이 쏟아지면 '집중호우'라는 표현을 씁니다. <br /> <br />밤사이 부산에 내린 비, 시간당 무려 80mm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차도가 침수되며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밤 부산 해운대 호텔 앞의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움직이지 않는 차를 밀어보려 안간힘을 쓰는 시민, 옆을 지나는 차도 힘겨워 보이긴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부산 광안동의 도로도 상황은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흙탕물이 도로를 가득 채웠고, 무릎까지 차오른 물은 유속까지 빨라서 걷는 게 위태로워 보일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지하철 역시 안전하지는 않았습니다, 영상 보시죠. <br /> <br />[YTN 방송 中 : 빗물이 순식간에 발목 높이까지 들이차면서 당황한 시민들은 서둘러 발걸음을 옮겼습니다. (부산 지하철 안내방송 : 안내 말씀드리겠습니다. 현재 부산역이 침수된 관계로 열차 서행 운전하고 있습니다.)] <br /> <br />비가 많이 내린 시각이 바닷물이 하천으로 들어오는 만조시각과 겹치면서 피해를 더 키웠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부산의 물 폭탄, 1시간 기준으로 보면 지난 1920년 이후 역대 열 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1위가 지난 2008년, 2011년과 2009년이 그 뒤를 잇고 있죠. <br /> <br />이렇게 비교적 최근에 몰리고 있는 집중호우 피해,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 문제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광주과학기술원 윤진호 교수 연구팀, 동아시아 지역 1979년에서 2017년까지 기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 심해지는 강수량 양극화를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구 온난화로 공기가 뜨거워져 수증기를 더 많이 품다 보니, 비가 올 때는 더 짧고 굵게 쏟아 붓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표면은 그만큼 수분을 많이 빼앗겨서 극심한 가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윤진호 / 광주과학기술원 지구·환경공학부 교수 : (대기) 온도 1도가 오르면 수증기 7%를 더 많이 품을 수 있다고 분석하는데 강수량이 그 비율 그대로 증가하는 건 아니지만, 비가 올 때 훨씬 많이 올 확률은 늘어나는 거죠. 품을 수 있는 수증기가 많아지면 어디선가 수증기가 와야 하는데 보통 바다에서 증발이 되지만 육지에서도 강화되면서 가뭄이 생겼을 때 더 강하게 발생할 수 있는….] <br /> <br />실제 이런 집중호우 현상이 동아시아에서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지난 2018년 6월 말부터 약 10일 동안 많게는 1,000mm 이상 비가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최근 양쯔 강 유역 집중 호우로 당국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0072412590288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